728x90
728x90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9) 경계해야 할 5가지 악 세상에는 용서받을 수 없는 다섯가지 악이 있습니다. 그 다섯가지 악의 첫째는 만사에 빈틈이 없고 시치미를 뚝 떼고, 음흉하게 나쁜짓을 하는 것입니다. 둘째, 하는 일은 조금도 공정하지 않으면서 겉으로는 매우 공정한 체하고 강직한 체하는 것입니다. 셋째, 거짓말 투성이면서 언변이 좋아서 그럴 듯하게 사탕발림 같은 소리를 잘하는 것입니다. 넷째, 성품은 흉악한데 기억력이 좋고 모든 것에 박학다식한 것입니다. 다섯째, 독직과 부정을 일삼으면서도 한편으론 많은 사람들에게 은혜를 베풀며 청렴하고 정직하며 깨끗한체 하는 것 등입니다. 인간은 거짓말을 하거나 잘못을 저지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잘못을 진심으로 뉘우치고 바로 행할 때 용서받을 수 있..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8) 지혜로움 없이 창조를 바꿀 수 없다 인간이 산다는 것은 무엇인가와 늘 싸우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생은 하나하나 쌓아가는 건설의 초석이요, 창조의 발자취입니다. 이것이 없을 때 인생은 허무합니다. 그러나 땀방울 없이 건설을 꾀할 수 없고, 지혜로움 없이 창조를 바랄수 없듯 먼저 땀을 흘려야 하며 노력해야 합니다. 기적이나 요행을 바라기 전에 땀으로써 싸워야 합니다. 동시에 나의 노력이 헛된 욕심의 발로가 아니요, 하늘의 이치에 맞도록 머리를 쓰는 사람이야 말로 지혜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인생에 있어서의 성공은 우연의 산물도 요행의 결과도 아닌, 지혜의 산물이요 신념의 산물이며 인내의 산물입니다. 때문에 '최선의 노력을 나는 다하였노라' 고 마지막 한마디를..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7) 지성의 3가지 통찰 지성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햄릿적 지성, 둘째는 돈키호테적 지성, 셋째는 파우스트적 지성이 그것입니다. 햄릿적 지성은 지성 과잉을 뜻하는 것으로, 사색만 하다보니 창백하고 힘이 없는 것을 말합니다. 돈키호테적 지성은 과잉행동의 결과 지성이 빈곤하다는 약점을 갖고 있으며, 우둔하고 거칠고 비판정신을 상실하여 방향감각을 잃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파우스트적 지성은 사색하면서 행동하고, 실천하면서 창조하는데서 참 지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즉 사색, 명상, 실천, 창조 그리고 양서를 항상 곁에 두어야 하며, 마음속의 삐뚤어진 것들, 천한 것들, 파괴적인 것들을 추방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마음을 긍정적이고 적..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6) 자신 내부의 적을 파괴하라 자신을 실패자로 몰고 가는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니라 자신 내부에 있는 불안과 근심의 적입니다. 우리 모두는 당장이라도 소설보다 진한 보람된 인생을 살수 있습니다. 이제 시간이 없다거나 시간이 부족하다는 실패자의 변명같은 생각은 버려야 합니다. 사실 인생은 지금이라도 계획과 실천력만 바로 서면 보람된 인생을 살수 있는 충분한 기간이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누가 더 큰 채찍질을 했느냐, 지금 하고 있느냐에 따라 승패가 좌우됩니다. 질서는 하늘이 준 첫 번째 법칙으로, 자신의 삶의 질서와 규범을 지키기 위해 자기를 엄하고 강력하게 다스리는 자만이 자기 생명의 위대성에 도달합니다. 자기와의 진실한 싸움을 하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가치를 매..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5) 인간은 살아있는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 합리적인 사고는 자신이 항상 인정받고, 유능하고, 성공해야 한다는 완벽주의 또는 자책이나 자기 비판의 습관을 버리고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비합리적 사고는 자신이 모든 사람들로부터 늘 사랑과 인정을 받고 유능해야 하며,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모두 이룩해야 한다고 믿는데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두려워하는 일이 언제 어느 때 생길지 몰라 늘 걱정하고 있는 것도 하나의 특징입니다. 따라서 비합리적인 사고를 하고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 비합리적인 사고가 떠오를 때마다 그것을 종이에 메모하여 합리적인 사고로 전환하는 의식적인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이때 모든 일이 내 뜻대로 되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며, 현..
삶의 행복을 주는 114가지 지혜 (24) 세상과 정욕은 강물처럼 흘러간다 인간은 자신의 삶과 세계를 구성하면서 살아갑니다. 식물이나 동물은 자연에 순응하면서 살지만, 인간은 자연을 자신과 대립하는 대상으로 여김으로써 자연에 순응하기도 하고 자연을 정복하여 이용하기도 하기 때문에 위대한 것입니다. 하지만 세상의 특징에는 세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정욕을 가진 육체입니다. 육체의 정욕은 영혼보다 육체를 더 사랑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육체를 기초로 하여 행해지는 부패한 욕망과 그 생활을 의미합니다. 부정과 향락, 방탕을 위주로 하는 모든 사상, 물질의 실재만 인식하는 유물주의이며, 육체를 기초로 한 모든 문화, 즉 감각문화 또는 과학주의입니다. 둘째는 안목의 정욕입니다. 안목의 정욕은 보이지 않는것보다 보..